본문 바로가기
스마트홈 입문기

스마트홈을 시작하기 전에 알아야 할 것들

by HICHIC 2021. 7. 21.

스마트홈에 처음 입문하시는 분들에게 알고 가야 할 몇 가지들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보통 처음에 스마트홈 시작하실 때, 갤럭시 홈 미니나, 구글 네스트, 구글 홈 미니 등과 같이 AI스피커를 먼저 집에 들이시고 시작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저는 갤럭시 홈 미니로 처음 입문했는데 처음에 입문했을 때는 단순히 TV나 에어컨을 조절하고, 음악 감상을 하는 것에 만족하며 사용했습니다. 그러다가 집안의 전구라던지 블라인드, 자동화등에 조금씩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시는데, 이모 든 것을 시작하기 저에 알아야 할 것들에 대하여 정리해보겠습니다.

 

플랫폼

 

스마트홈 IOT 제어에는 플랫폼이 아주 중요합니다. 정확한 플랫폼의 선택은 훗날 추가하실 기기의 호환성에도 큰 영향을 미치며 중복투자를 막아줄 것입니다. 예를들어, 갤럭시 홈 미니로 시작하셨다면, Smartthings를 선택하시는 것을 추천드리며, 애플 홈팟 미니로 시작하셨다면, 애플 홈킷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물론, 이것이 정답은 아닙니다만 방향을 확실히 정하셔야 나중에 머리 아픈 일들이 없기 때문입니다.

 

플랫폼의 종류

 

  • 애플 홈킷
    • 애플 홈킷은 iCloud를 기반으로하고, 외부에서 IOT 장치들을 컨트롤하고자 한다면, 기본적으로 홈팟, 아이패드, 애플 Tv 중 하나가 기본적으로 있어야 합니다. 기기들 중 하나를 홈허브로 지정하여야만 외부에서 장치 컨트롤이 가능합니다. 대표적으로 국내에서 쉽게 접하기 쉬운 제품으로는 아카라 제품이 있습니다. 각종 스위치나 허브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이며 국내에도 얼마 전에 공식 론칭했으므로 조금 더 쉽게 제품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Smartthings 스마트싱스
    • 원래는 독자적인 IOT플랫폼을 운영하다 몇 년 전쯤, 삼성이 인수하여 지금은 삼성 Smartthings 가 되었습니다. 보통 삼성 스마트폰을 사용하신다면 기본어 플로 설치되어있습니다. 각 장치 간의 연결이나 설정이 쉬운 편이며 확장성도 좋은 편입니다. 저도 처음 시작을 스마트싱스 허브 v3로 시작했습니다. 자동화를 설정하기 편하며 커뮤니티의 지원도 좋은 편입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아마 국내 유저분들이 제일 많이 선택하시는 플랫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만큼 접근이 쉬워서겠죠.

 

  • 구글 홈
    • 아마도 구글 홈미니로 처음 입문하게 되신 분들은 이 어플을 설치하셨으리라고 생각합니다. 구글에서 Nest사를 인수하여 최근 들어 꽤 많은 제품들이 구글에 추가되었습니다. 아직은 직접 지원하는 제품이 많지는 않지만, 구글은 확장성이 매우 좋아 스마트싱스에 모든 제품을 등록해놓으셨더라도 구글 홈으로 모든 기기들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저도 지금 거실에 구글 네스트 오디오, 안방에는 Nest Hub 2nd gen을 설치하여 사용 중이며 지금 정착 중입니다. 서버의 안정성도 매우 좋은 편입니다.

 

호환 제품을 선택하는 방법

플랫폼을 먼저 정하셨으면 어플이나 홈페이지에 방문하셔서 지원 기기목록을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저도 처음에 무턱대고 알리익스프레스에서 저렴한 와이파이 전구를 샀다가 전부다 창고로 향하게 되었습니다. 반듯이 지원기기 목록을 살펴보신 후, 구매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물론 지원되지 않는 제품들로 스마트싱스 DTH처럼 고수분들이 올려놓으신 코드를 등록하여 연동을 시킬 수는 있지만, 공식 지원 기기가 아닌 만큼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입문하시는 만큼 처음부터 골머리를 앓고 싶으시진 않으시겠죠. 

'스마트홈 입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홈 입문하게되는 과정 ep.1  (0) 2021.07.15

댓글